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우분투를 아십니까?…“설치부터 SW 지원까지”
    IT 일반 2008. 9. 5. 13:26
    반응형

    [Dailygrid]PC 운영체제인 우분투에 대한 기획이 이어지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우분투의 설치, 하드웨어지원, 소프트웨어 설치에 대해 알아본다.

    글의 구성을 위해 한국우분투사용자모임(Ubuntu.or.kr) 회원으로 활동 중인 최성원 브랫인넷 개발팀 차장(좌측사진)과의 번째 인터뷰를 진행했다.

    - 우분투 배포판을 구한 다음엔 PC 설치를 해야 하는데요. 설치 작업은 사용자 편의를 충분히 고려하고 있습니까?

    “예전에는 우분투를 설치하는데 가지 어려움이 있었지만 현재는 설치의 어려움은 없습니다. 윈도XP 비스타를 설치하는 것처럼 쉽게 우분투를 설치할 있습니다. 또한 윈도와 달리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할 있습니다.

    - 다양한 방법이라면 구체적으로 어떤 것들입니까?

    “먼저 고전적인 방법이 있습니다. 얼터너트(Alternate)라고 불리는 CD 사용해 텍스트 기반(Text Base)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방식은 예전부터 이용되던 방식으로 아주 간단한 설치 방법이지요.

    “두 번째로는 GUI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라이브CD(LiveCD) 설치를 하는데 그래픽을 사용으로 일반 사용자들이 접근하기 쉬운 방식입니다. 주목해야 것은 윈도XP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우분투를 설치를 있습니다.

                            [Text Base 설치 화면]

     








                        [LiveCD GUI 설치 화면]

     










    - 우분투에 경험이 없는 이용자들이 윈도 운영체제를 제거한 상태서 우분투를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같습니다. 윈도 상태서 우분투를 체험할 있는 방법은 없습니까?

    “앞서 언급한 방법들은 PC 우분투를 설치해 운영체제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반면 우분투는 설치하기 전에 체험해 보기 위한 방법도 제공합니다. 라이브CD 사용해, CD 부팅을 하면 우분투가 설치된 것과 같은 환경을 만들어주어 체험이 가능합니다.

    “체험이 끝난 후에는 CD 빼고 부팅하면 다시 윈도XP 운영체제로 돌아옵니다. 조금 오랜 시간 체험을 하고 싶다면 라이브CD안에 포함된 ‘우비(wubi)’라는 방법을 이용해 PC 임시로 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wubi 설치 화면]

     











    -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를 지원해 주고 있군요. 하지만 이런 다양한 방법이 사용자에게 오히려 혼란을 주지는 않습니까?

    “네. 처음 접하는 사용자에게는 약간 혼란스러워 보일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리눅스가 추구하는 정신인 이용자들의 ‘자유(Free)’의 단면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또한 후발 주자로서의 핸디캡이기도 합니다.

    - 우분투를 윈도와 함께 사용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우분투를 처음 접하는 이용자들은 처음부터 우분투만 사용하는데 가지 불편을 겪을 있습니다. 그래서 우분투는 다른 리눅스 계열의 운영체제처럼 ‘듀얼부팅’을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PC사용자는 하나의 PC 개의 운영체제를 설치해 윈도XP 사용하고 싶을 때는 XP 부팅을 하고, 우분투를 사용하고 싶을 때는 우분투로 부팅을 하면 됩니다.

    “즉 우분투는 사용자들에게 운영체제 이용의 선택권을 주고 있습니다. 저도 우분투와 XP 함께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개의 운영체제를 한꺼번에 부팅해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 모든 PC 우분투를 설치해 사용할 있습니까?

    “대부분의 PC 노트북에 무리 없이 설치할 있습니다. 다만 우분투를 설치하기 전에 우분투 홈페이지의 하드웨어 지원 페이지(https://wiki.ubuntu.com/HardwareSupport) 가서 지원 사양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설치하려는 하드웨어가 우분투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우분투를 설치하지 못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우분투의 이용 활성화를 위해선 PC제조업체들, 특히 국내 업체들이 윈도만 지원하지 말고 우분투를 포함한 리눅스 계열을 함께 지원해야 합니다.

    - 오피스 프로그램 윈도에서 이용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우분투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얼마나 있는지 궁금합니다.

    “윈도XP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많은 프로그램들이 우분투에 존재합니다. 또한 대부분의 우분투 지원 프로그램들은 무료입니다. 윈도 계열의 프로그램은 대부분 상용 제품, 돈을 내야 프로그램을 있는 것과 구별됩니다.

    - 윈도 XP 대응하는 프로그램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십시오.

    “먼저 MS 오피스에 대응하는 ‘오픈오피스(OpenOffice)’라는 사무용 오피스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또한 포토샵에 대응하는 김프(Gimp)라는 그래픽 프로그램이 있고, 플레이어나 KMP 대응하는 토템(totem), VLC 등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프로그램들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우분투에서 사용이 가능한 많은 프로그램들이 존재합니다.

    - 윈도에 익숙한 사용자들에겐 낮선 이름들인데요. 그런 프로그램들은 어디서 구할 있습니까.

    “데비안 계열의 배포판들은 프로그램들을 찾기 위해 윈도처럼 헤매지 않아도 됩니다. 데비안 계열의 배포판들은 OS 설치될 기본적으로 필요한 프로그램들이 설치가 되고, 필요한 프로그램들은 저장소에서 찾으면 됩니다. 만약 필요한 프로그램이 저장소에 없으면 인터넷에서 다운받으면 됩니다.

    “한 가지 재미있는 것은 윈도에서 운영되는 프로그램들은 설치 삭제 방법이 제각각이지만, 우분투를 포함한 데비안 계열의 배포판에서는 .deb’라는 확장자로 모든 프로그램의 설치 방법과 삭제 방법이 동일합니다. 이에 따라 설치하는 방법을 하나만 배우면 됩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